본문 바로가기

세발이의 꿀팁 연구소50

센돌이와 스핀다운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생물학 실험실이라면 하나쯤은 있다는 그것, 센돌이! 오늘은 센돌이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실험실 생활을 시작한 첫 주에 나는 타과에서 왔다는 이유로 선배로부터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기구들의 이름을 배우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덕분에 실험실 기구들의 제대로 된 용도와 이름을 쉽고 빠르게 알 수 있었다! 참 감사한 일이다!) 생물학 실험실을 접할 기회가 적었던 나에게는 실험실에서 접한 모든 것들이 신문물 같이 느껴졌는데, 그중에서도 '센돌이'라고 하는 용어는 처음 들었을 때 신기하기도 하면서 또 '너무 귀여운 용어인데?' 하는 생각이 들어서 뇌리에 콕! 박혔다. 사실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많은 용어들은 귀여움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너무 삭막한 느낌이 있다보.. 2020. 9. 4.
과학적 사고방식에 대하여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어떻게 하면 근본적으로 과학자의 꿈을 가지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컨텐츠를 만들 수 있을까?' 평소에도 생각이 참 많은 나이지만, 과학자와 관련된 컨텐츠들을 구상하면서 더욱 생각이 많아졌다. 생각을 거듭할수록 어렴풋하게 '생각을 하는 것, 생각을 잘하는 것이야말로 과학자에게 필요한 것'이라는 생각이 떠올랐지만, 그 '생각을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어떻게 말이나 글로 설명하기가 어려웠다. 또 '그러면 어떻게 해야 생각을 잘하는 건데?!' 하는 이어진 질문에도 답을 할 수 없었다. 아마도 그건 나의 표현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었거나 더욱더 깊이, 내가 필요로 하는 만큼 충분히 생각을 하지 않았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여러 달, 여러 날의 고민을 품고 지내.. 2020. 9. 2.
인벌팅, 탭핑, 파이펫팅, 볼텍싱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이전 시간에는 생물학 실험실에서는 '액체'를 다룰 일이 많다는 이야기를 하면서 액체의 부피를 지칭하는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모두 기억나시죠?! 람다와 엠엘!) 오늘은 실험실에서 액체를 다룰 때 자주 사용하게 되는 동사들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생물학 실험을 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DNA, RNA, 단백질, 세포들 (그리고 등등등)은 모두 액체 (D.W., buffer, media 등)에 담겨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에도 언급했다시피 생물학 실험실에서는 정. 말. 액체를 사용하게 될 일이 많다. 액체를 많이 사용하다 보니, 여러 액체들을 서로 섞는 일도 많이 하게 되는데 그럴 때 주로 사용되는 동사들이 있다. 바로 '인벌팅 (inverting),.. 2020. 9. 1.
과학자가 되고 싶으시다구요?! 이 책 한 번 읽어보시죠!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뭘 하는지 정확하게 모르겠지만, 엄청나게 중요한 일을 하는 별난 사람들 - 과학자가 되는 방법, 남궁석 내가 과학을 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밝혔기 때문일까? 최근에는 유독 과학자가 되고 싶어 하는 분들이나 과학자에 대해서 궁금해하는 분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눌 일들이 많았다. (인터뷰도 두 번이나 했다! >. 2020. 8. 29.
QnA) 연구원에게 가장 중요한 자질은 무엇인가요?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질문) 생명과학연구원으로서 필요한 자질과 역량이 무엇인지 궁금해요. 나의 답변) 다른 연구원 분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생명과학연구원으로 일을 할 때도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이나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꼼꼼하게 기록을 하는 능력이 중요한 것 같아요. 먼저, 연구원에게 논리적으로 생각을 하는 능력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볼게요. 저는 생명과학연구원을 포함한 모든 연구원들은 본인이 관찰하거나 실험을 한 결과들을 잘 정리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이때 내가 한 연구결과들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모든 연구 단계들이 논리적으로 타당하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해요. 그렇기 때문에 논리적.. 2020. 8. 28.
프리 컬쳐와 메인 컬쳐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지지난 시간에는 컬쳐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다. 그리고 지난 시간에는 서브 컬쳐에 대해 이야기를 했었고. 그리고 이번 시간에는 프리 컬쳐와 메인 컬쳐에 대한 이야기... (지긋지긋.... 하신 거 알지만!! 자세히 듣고 보면 또 다른 이야기라니까요?! ㅇ.ㅇ) 오늘은 컬쳐 (잠정적) 마지막 편, 프리 컬쳐와 메인 컬쳐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벌써 컬쳐를 다룬 글만 세 번째이니, 컬쳐라는 용어와는 충분히 친해지셨겠쬬?!ㅎㅎ 생물학 실험실에서는 생명체를 키운다. 생명체의 최소 단위는 세포이고. (흔히 필드에서는 쎌이라고 부른다.) 쎌이라고 언급될 수 있는 것들은 다들 알고 있는 이콜라이 (e. coli, 대장균)나 이스트 (yeast, 효모) 그리고 마말 쎌 (mam.. 2020. 8.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