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0 QnA) 실험실 사수 때문에 너무 힘들어요, 어떻게 하죠?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질문) 저는 생물분야에 관심이 있어서 생물학과로 진학했고 실험도 재미있어서 랩실에 들어가서 학부생으로 연구를 했어요. 그러다가 다른 대학원으로 진학을 했는데 사수의 행동들 때문에 너무 힘이 듭니다. 점점 연구에 대한 흥미도 사라져서 내가 정말 연구를 좋아하는 게 맞는지에 대한 고민이 되요. 나의 답변) 실험실 생활을 같이 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잘 쌓는다는 것이 참 쉬운 일이 아니죠...ㅠㅠ 교수님과, 또 다른 실험실원들과의 관계도 어렵지만, 특히 사수와의 관계는 정말 어려운 관계인 것 같습니다. 저도 대학원 시절, 같이 연구를 하던 실험실 동기때문에 힘든 시간들을 보냈던 경험이 있어서 질문자님의 고민이 너무 공감이 되고 안타까운 마음이 드네요. 저는 그 친구와의 관.. 2020. 7. 8. QnA) 연구원을 꿈꾸는 고등학생입니다.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질문) 생명과학연구원을 꿈꾸는 고등학생입니다. 제 흥미나 적성은 연구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데 주변에서 연구직은 돈이 안된다고 이야기해서 고민이 많아요. 솔직히 조금 막연한 꿈같기도 하고 아직 너무 멀게 느껴져요. 이제부터라도 확실하게 제 진로에 대해서 계획을 세우고 싶은데 지금부터 어떤 식으로 준비하면 좋을지 조언해주실 수 있나요? 나의 답변) 질문자님의 상황이 어떤 상황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겠지만 주변에서 어떤 이야기들을 하며 질문자님을 말렸을 지는 왠지 짐작이 가네요. 저도 대학교 때 부모님과 여러 주변 지인으로부터 생명과학 분야로 오는 것에 대해서, 연구직을 직업으로 갖는 것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들을 들었던 기억이 있거든요. 주변 분들의 이야기에 마음이 복잡하.. 2020. 7. 8. 연구원이 말하는 생명과학연구원, 생명공학연구원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최근 나의 유튜브 채널에 생명과학연구원과 관련된 영상들을 올리는데 그러다 보니 생명과학연구원에 대한 질문들을 많이 받고는 한다. 몇 달 전에는 조금이라도 더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를 알려드리고 싶어서 인터넷에서 연구원과 관련된 정보들을 검색하다가 많이 놀랐다. 생명과학 분야에 대하여, 기초과학 분야에 대하여 하나도 알지 못하는 분들이 쓴 것 같은 (어떻게 보면 오해할만한 부분들이 많은) 글들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사실 어느 곳에서 먼저 언급이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바이오 직업', '생명과학 관련 직업'이 유망 직업 중 하나로 소개가 되면서 최근에 '생명과학분야의 직업'과 관련된 글들이 유독 많이 생겨난 것 같다.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 2020. 7. 7. 생물학, 생화학 실험실 생활에 유용한 어플 추천!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실험실 생활을 하다 보면 필요한 것들이 참 많다. 타이머나 계산기와 같은 실체가 있는 것에서부터 화합물의 분자량이나 아미노산의 구조와 같은 지식적인 것까지. 요즘 같은 세상에는 이 모든 것들을 스마트 폰 하나로 해결을 한다고 하는데, 이제는 그것도 부족해서 어플 하나에 모든 것이 들어갔다. (와! 진짜 이 어플 처음 접하고 신세계...!) 그래서 오늘은 Lab.Hacks라고 하는 어플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타이머, 계산기는 기본이고, 셀 카운터까지 어플에 넣어뒀다! 어플을 켜서 위에서부터 차례로 살펴보자. 타이머, 스탑워치, 계산기에 셀카운터까지! 일단 이것만 해도 종합 선물세트다.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4 채널 타이머가 어플에 들어와.. 2020. 6. 30. 대학원 입학 전, 무엇을 공부하면 좋을까?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대학원에 진학하기 전에 무슨 공부를 하면 좋을까요?", "연구실 들어가기 전에 어떻게 실험 공부를 하면 좋을까요?", "대학원 가서 영어 논문 읽어야 하는데 그전에 영어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이런 질문들을 종종 받는다. 6년 전, 나도 같은 것들을 궁금해하고 고민했을 때, 먼저 대학원 생활을 하던 선배들은 나에게 이런 말들을 했었다. "일단 놀아", "푹 쉬어", "한 살이라도 어릴 때 (돈이 없다면 빚을 내서라도) 여행을 다니고 많은 경험을 해봐", 그리고 "학기 시작해서부터 실험을 배워도 늦지 않으니 최대한 연구실은 늦게 들어와." 사실 당시에는 그 말의 의미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었다. 그때의 나는 하루라도 더 일찍 실.. 2020. 6. 24. QnA) 대학원 입학 전, 논문 읽기 위해 영어공부 해야하나요?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질문) 영어로 된 논문 읽는 건 힘들지 않으신가요? 논문을 읽기 위한 기본적인 영어실력이 어느 정도 있어야겠죠? 나의 답변) 영어로 된 논문 읽기 힘들죠ㅠㅠ 처음에는 시간도 오래 걸리구요....! 그래도 본인에게 필요한 좋은 논문들을 하나하나 정독하면서 같은 분야의 논문들을 여러 개 읽다 보면 논문을 읽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것을 느끼실 거예요. (처음에는 어떤 논문이 좋은 논문인지 모를 수 있기 때문에 선배나 지도 교수님께 '논문 스터디를 하고 싶은데 읽을 논문을 추천해주실 수 있는지'를 물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영어 실력이 좋으시다면 (특히 독해 실력이 좋다면!) 논문을 읽는데 도움이 될 수는 있겠지만 본인이 영어를 잘하지 못한다고 해서 영어.. 2020. 6. 18. 프로토콜, 어떻게 읽을까?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내일 xx 실험할 거니까 미리 프로토콜 읽고 공부해 와." 내가 대학원 생활을 하며 자주 들었던 말이다. 비단 나뿐일까. 지금도 전국의 수많은 실험실에 있는 누군가는 이러한 말을 들었거나 앞으로 듣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시간을 거슬러 6년 전, 새내기 대학원생이었던 나는 사실 '프로토콜'이라고 하는 단어의 뜻도 잘 알지 못하는 상태였다. 대충 '이 종이를 주면서 읽어오라고 했으니 종이에 써진 이런 글을 '프로토콜(?)'이라고 부르나 보다.'라는 추측을 하는 정도. 1번부터 차례대로 순서가 매겨져 있고 그 아래 영어로 각각의 스텝이 적혀 있는 글귀를 처음 받아 들었을 때, 그냥 순서가 적힌 종이인 것 같은데 도대체 뭘 공부 해오라는 거지, 하는 생각을 했었던 것 .. 2020. 6. 16. 실험실 출근 첫날, A to Z (2)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이전 글의 내용과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https://sebari.tistory.com/12) 저번 글에서는 실험실의 출근한 첫날, 사수와 함께 하는 일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다. 그럼 이제는? 사수가 나를 케어해주지 못하는 시간 동안 내가 혼자 실험실에서 할 수 있는 일들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중간에 그만두지 않는다면) 실험실은 내가 앞으로 2년~5년 (혹은 그 이상)의 시간을 보낼 곳이다. 그리고 아마도 대학원 과정 동안 집에 있는 시간보다도 더 오랜 시간을 바로 이 곳, 실험실에서 보내게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특히 이공계생...ㅠㅠ) 그러니 이 실험실이라는 공간에 익숙해지는 것이 대학원 생활의 첫 단추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실험실에 익.. 2020. 6. 9. 실험실 출근 첫날, A to Z (1)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설레는 실험실 출근 첫날. 들뜬 마음으로 집을 나서서 실험실로 향한다. 왠지 이제부터 나는 엄청난 일들을 하게 될 것만 같은 기분이 든다. 그러나 그런 설렘도 잠시, 여러분들 중 일부는 아마 '여기서 나는 이제 무엇을 해야 하나?'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라고 짐작한다. 실험실마다 신입생에 대한 태도가 다르긴 하겠지만 몇몇의 경우에 신입생들은 실험실에서 '(짧거나 긴 시간 동안) 방치'가 되기도 한다. 그것은 실험실 선배들이 나에게 무관심해서라기 보다는 선배라고 하는 사람들도 (시기적으로만 살짝 앞섰을 뿐) 나와 같은 대학원생이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나에게 관심이 없는 것 같아 왠지 서운한 마음이 든다면, 오늘 나의 사수에게는 나를 케어해주는 일 이외에도 해야 .. 2020. 6. 8. 면접 발표를 준비하는 예비 연구원분들에게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어떻게 하면 면접관들의 기억에 남는 발표를 할 수가 있을까? 아마도 대학원 이후에, 직업적으로 연구를 시작하려는 모두가 한 번쯤은 이런 고민들을 해보지 않았을까. 실제로 나는 그리 많은 면접장에 다녀온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발표를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것에 대해서 여러 가지로 고민들을 많이 해보았다. 그리고 내가 고민하여 얻은 결론들을 이용해서 몇 번의 면접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래서 오늘은 예비 연구원분들이 면접 발표를 준비할 때 알아두면 좋은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01. 지원하는 회사 (혹은 연구소)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많이 찾기 너무 당연한 소리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아마 지금 '지원하는 회사에 대한 정보를 찾지 않고 면접장에 들.. 2020. 5. 30. QnA) 대학원, 금전적인 문제에 대하여 | 등록금과 인건비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질문) 석사과정을 들어가면 실험실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알기론 등록금은 학교에서 내주고 생활비를 지원해준다 했는데, 이것도 맞는지 궁금합니다. 대학원 들어가면 종일제인 걸 알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되는 게 걱정입니다. 나의 답변) 금전적인 문제에 대해서 질문해주셨는데요, 굉장히 중요한 문제죠....! 말하신 대로 생명과학 분야 대학원생은 full time이기 때문에 다른 아르바이트를 할 시간을 낼 수 없구요 (진짜 못합니다... 그리고 하지 않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 시간에 더 열심히 연구하셔서 좋은 논문 내시는 게 더 나아요! 진심!) 등록금에 대한 문제와 생활비에 대한 것들은 실험실마다 다를 것 같은데, 제가 생각하는 기준으로 케이스를 좀 나눠보자면 1) .. 2020. 5. 25. QnA) 대학원 입학 과정, 컨텍 시기에 대하여 글 · 사진 | 세발이, sebari 질문) 대학원 입학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먼저 가고 싶은 랩을 찾은 후 그쪽 책임 교수님에게 메일로 컨택을 한 후 석사모집 기간 때 지원서 넣고 면접 보라 하면 면접 보고 합격하면 들어가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방식으로는 학부생 때 인턴연구원으로 랩에 들어가서 배운 후 교수님이 들어오라고 하면 석사과정 밟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제가 아는 게 맞는지 궁금하고, 지원서를 넣기 전에 미리 컨택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컨택은 언제 해야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나의 답변) 알고 계신대로 대학원의 입학 시스템은, 1) 가고 싶은 실험실을 정하고 2) 교수님께 컨텍 메일을 보낸 뒤 3) 교수님과 컨텍 (사람에 따라 이후에 인턴 연구원이나 학부.. 2020. 5. 25.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